본문 바로가기

Self-improvement/학문(學問)

[국사] 고려 고려 정권의 성격 : 호족 연합정권 후삼국 통일을 이룰 수 있었던 것도 호족세력에 대한 관리가 중요한 요소. 경쟁자였던 견훤에 비해 왕건의 포용력이 탁월. 신라에 대한 태도에서 나타남. 왕건의 등장부터도 호족세력의 역할 지대 - 궁예에 비하여 호족의 기득권을 지키는데 왕건이 유리했다는 것. 이후 고려의 발전과 변화에도 지속적인 영향 정치적 변화 : 왕건 사후 혜종 대의 혼란 - 정종의 수습 - 광종의 개 혁정치 - 경종 대의 반동정치 - 성종의 정비 광종의 왕권 강화 정책 - 고려시대 제도 정비에 분기점 승과제도 : 승려에게 과거시험 실시 - 왕권에 협조해 줄 사람에게 승려 자격 인정 - 불교계 장악. 난립한 불교계를 정리할 필요성. 훈요십조에도 불교계 정리의 필요성 강조. 결국 교종 중심으로 선종을 통.. 더보기
[국사] 신라의 붕괴 중앙집권화의 반작용 : 진골 귀족의 권력투쟁 격화 - 지방 통제 약화 중앙의 권력 투쟁에서 실패한 세력이 지방에서 힘을 키우거나 지방 세력과 손잡고 정권 탈취 - 대표적인 예가 청해진의 장보고 시간이 흐르면서 호족 세력 대두. 교선의 대립과 호족 : 불교는 단순한 종교가 아닌 통치 이데올로기로서의 역할. 따라서 정치적 향배를 결정할 요소가 되기도 했음. 그래서 교종과 선종도 단순한 교리의 차이라는 차원에서 끝나는 것이 아님. 교종 - 경전 중심 - 경전의 편찬과 보관 - 많은 자금 필요 - 능력을 갖춘 왕실이나 대 귀족만이 교단 운영 가능. 선종 - 참선 중심 - 상대적으로 이해와 운영이 쉬움 - 정치, 경제력이 약한 호족 세력도 후원 가능. 교리의 차이가 정치적 분열 양산 - 호족은 선종 교파를 후원하.. 더보기
[국사] 불교와 유교 도입 종교로서가 아닌 통치 이데올로기의 역할 - 왕권 강화, 중앙집권화의 도구 통일 이후의 불교 : 위협세력 제거로 인하여 오히려 국가권력 중심의 불교에 회의 발생 종교로 인한 분열 가능성 : 원효와 의상의 활약으로 봉합 원효 - 화쟁사상, 의상의 해인삼매 ; 논쟁은 조화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 교파 간 화해 추구. 불교 대중화 - 불교가 국교이고 신라인이 이미 불교 신자가 되어 있는 상태에서 불교를 보급했다는 의미가 아님. 국가권력 위주의 불교에서 소외된 백성들에게 쉽게 불교에 접근할 길 모색. 이러한 봉합에도 불구하고 신라 하대에 들어서면서부터는 선종의 도입과 활성화로 다시 교파의 분열과 분쟁 발생 유교 : 관료체제 정비로 인한 왕권 강화 역할 - 주로 왕을 중심으로 한 국가권력의 수족 역할을 할 관리 양.. 더보기
[국사] 정치적 흐름. 3세기 즈음까지는 비슷한 문화권에서 누가 주도세력이 되느냐는 경쟁이 주로 나타남 예를 들어 고구려-부여, 백제-마한, 신라-진한 등 구심점이 되어 주 변 세력을 정복해 나아간 세력은 고대국가체제로 발전하고 그렇지 못한 세력은 고대국가체제를 이룩한 나라에 흡수, 통합 동예, 옥저가 초기에 고구려에 통합되었고, 연맹체 단계에 머무른 가야로 결국 신라에 통합. 4세기 무렵부터 본격적인 국제분쟁 발생. 3세기 고구려가 대방을 공략할 때, 백제가 사돈 관계에 있던 대방 원조 - 고구려와 백제의 관계 악화 - 4세기 고구려가 북방세력의 침략으로 시달릴 때 백제도 팽창 시도 - 근초고왕의 평양성 공격과 고 국원왕 전사 - 광개토왕대의 반격, 신라의 고구려 접근 이에 따라 백제에 대한 직접 공략뿐 아니라, 백제와 연결.. 더보기
[국사] 고대국가의 정비와 발전 고대국가 : 왕을 중심으로 한 중앙집권체제가 갖추어진 나라 연맹왕국 - 중앙집권적 고대국가체제를 이룩하기 이전의 단계로 설정 신라 6부 같은 부의 수장들이 왕과 맞먹는 권력을 가진 존재. 왕을 중심으로 하는 체제가 아님. 고구려, 백제, 신라의 건국은 중앙집권적 고대국가 체제를 언제 갖추었느냐는 문제와 연결. 삼국사기를 믿는 측에서는 기원 전후에 건국되었다고 생각. 일제 식민사학자 계열은 율령 반포를 기준으로 건국 - 그래서 고구려는 태조왕(심하면 소수림왕), 백제는 고이왕(근초고왕), 신라는 내물왕(법흥왕) 때 나라 체제를 갖추었다고 주장. 교과서에는 이 계열의 주장 수록. 백제의 요서 진출도 기록의 신뢰 문제. ??송서??, ??양서?? 등 중국 역사에는 백제가 고구려의 요동 점령 시기에 요서에 진평.. 더보기
[국사] 초기국가 고조선 : 건국시기 - 청동기 문화의 도입시기와 관련 유이민 발생과 고대국가 성립 - 천지창조 설화의 존재 여부 단군신화에서 시작하여 기자조선, 위만조선으로 이어지는 설화에서 유민이 고조선 정권의 변화에 영향을 주었음을 시사. 또한 토착세력을 무시하고 세워진 것이 아니라 조화를 이루어가며 나라를 세웠음을 시사. 고조선 사회 : 8조 법금 - 생명을 중시했음과 사유재산이 보호되었음을 시사.(법체제 정비) 단군왕검이라는 명칭 - 제정일치 사회 의식을 통한 지배, 카리스마적 지배 - 부여의 영고, 고구려의 동맹 등의 제천행사도 같은 맥락의 유산 철기시대로 넘어 오며 사회 변화 - 삼한의 소도(제정분리 현상) 카리스마적 지배에서 합리적 지배체제로의 변화과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