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lf-improvement/학문(學問)

[사회학] 사회학의 대상과 방법 1. 사회학의 대상 (1) 게오르그 짐멜(G. Simmel, 1858~1918)사상 - 사회란 상호작용하고 있는 개인들간의 복잡한 관계로 이루어진 복잡한 관계망으로 구성 상호작용으로 연결된 수많은 개인들을 지칭하는 이름 형식사회화 : 사회학은 상호작용의 형식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형식이란 용어는 사회구조와 유사, 즉 사회구조를 이루는 요소들로서 지위, 역할 규범, 기대 등은 짐멜의 형식적 개념 화와 유사, 사회 생활의 형식이란 경제적 관심, 정치적 관심 과 같은 사회적 내용이 아니라 협동, 교환, 경쟁, 지배와 같은 상호작용의 일정한 형식을 말함. (2) 사회학의 연구대상 ① 사회학의 연구대상은 문화, 퍼스낼리티, 집단, 사회구조, 사회변동으로 압축될 수 있다. ② 사회는 인간을 위해서 있어야 하는 .. 더보기
[사회학] 사회학의 시각과 이론 1. 합의론 - 사회는 원래부터 통합을 전제하고 있다고 전제, 개체는 전 체를 위해서 어떤 형태로든 합의를 이루지 않을 수 없다. 사회의 현상유지를 바란다는 의미에서 보수주의적 가치전제를 지짐 (1) 사회유기체설 : 사회를 생물유기체와 비유하여 생물체 를 구성하는 세포, 조직, 기관 같은 단위들과 같이 사회도 개인, 조직, 계급과 같은 구성 단위를 갖는다는 주장 (2) 구조기능주의(탈코트 파슨즈 T, Parsons, 1902~1979) 사회체계론 - 사회체제는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4가지 기 능을 충족해야 한다.(AGIL 도식) A(adaptation) : 외적 상황의 조건에 대한 적응 G(goal-attainment) : 목표달성을 위한 제상황, 요소의 통제, 장치제도 담당 I(integration).. 더보기
[사회학] 사회학의 기초 ⊙ 사회학의 성립과 발달 ⊙ 1. 사회학의 발생 배경 (1) 전근대적 사회(농경사회)가 근대적 사회(산업사회)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시작 (2) 사회가 게마인샤프트(공동사회)에서 게젤샤프트(이익사회)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성립 (3) 서구에서는 지리적 발견, 르네상스, 종교개혁 등이 과정을 더욱 활성화시킴 2. 사회학자의 사상 (1) 생시몽(Saint Simon, 1760~1825) : 공상적 사회주의자 ① 귀족을 비롯하여 할 일없이 노는 계급을 일소해야 한다는 주장 ② 국민이 일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 사회를 큰 공장처럼 운영해야 함 ③ 다수를 차지하는 가장 가난한 계급을 구제해야 한다고 역설 ④ 사상 - 사회생리학 제창 : 새로운 질서확립을 위해 사회를 유기체로 파악 - 역사적 발전 : 군사체제 ->봉건.. 더보기
[국사] 현대 제2차 세계대전이 연합군에 유리하게 돌아가자, 미국, 영국, 소련 등의 나라들은 전쟁 이후 세계구도를 어떻게 짜느냐는 문제로 협의. 그 과정에서 한국의 독립 논의. 원래 미국의 의도는 한국을 공동 관리하는 것. 신탁통치도 그런 맥락에서 제시. 하지만 1945년 8월 일본이 항복하면서 38선을 긋고 미국과 소련이 한반도를 분할 점령. 분할점령을 미리 약속해놓은 것인지, 당시 사정에 따라 급박하게 결정된 것인지를 두고 논란. 분할점령 이후 한국 사회의 혼란, 반탁운동, 국내 세력의 분열, 미국과 소련의 협의 결렬 등의 문제가 터지면 결국 남북한에 별도의 정부 성립. 좌우익의 대립으로 각종 사건 발생 .- 4. 3, 여순 반란사건. 1949년 미군 철수로 생긴 힘의 공백에 한국전쟁 발발. 한국전쟁의 기원에 대.. 더보기
[국사] 근현대 흥선대원군의 집권 정조 이후 헌종, 철종, 고종까지 어린 왕을 세워 세도정치 연장 의도 - 흥선대원군은 세도정치의 폐해를 보면서 성장 - 세도정치의 종결 시도 고종이 등극하자 섭정을 맡으며 개혁 시도 원래 대원군이란 왕의 아버지에게 내리는 칭호 - 정상적으로는 왕 의 아버지는 당연히 왕이므로 굳이 대원군이라는 칭호가 필요 없음. 대원군의 칭호는 정상적인 왕위 계승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뜻. 선조나 철종의 친아버지에게도 대원군 칭호가 내려진 적이 있으나 이들은 죽은 이후에 추존. 즉 살아 있는 상태에서 대원군이 된 사람은 흥선대원군뿐. 그래서 대원군이라고 하면 곧 흥선대원군을 의미하게 됨. 주요 개혁 : 호포법 실시, 서원의 철폐 - 기득권층인 양반들의 힘을 약화시키는 조치. 개혁의 의미 - 국왕 중심 체.. 더보기
[국사] 조선 정치적 흐름 : 조선 경영의 실질적 책임자였던 정도전은 중앙집권 화를 추구하면서도 왕의 전제정치가 아닌 재상중심체제 추구 -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제거 - 이후 파란만장한 과정을 거쳐 집권한 태종 이방원은 강력한 전제정치 추구 - 세종 때까지 강력한 왕권을 바탕으로 한 여러 개혁 가능 - 국가의 안정 이룩 - 문종,단종 때 김종서,황보인 같은 권신 등장으로 잠시 왕권이 위축되었으나 세조의 계유정난으로 회복 - 하지만 세조는 태종 같이 강력한 전제정치를 유지 하기 어려움 - 성종 이후 훈구대신들이 정치를 장악 - 이를 견제하기 위하여 세조 말부터 사림 등용 - 훈구와 사림의 대립으로 연산군-중종 조에 많은 사화 발생 - 결국 훈구대신 제거와 함께 사림정치 시작. 당파싸움도 결국 사림정치의 산물 - 왕이 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