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장 한국의 전통사상과 민족문화
1. 원시신앙
토테미즘, 샤머니즘
2. 단군신화
통일적 세계관의 지향, 인본주의적 성격, 민족의식 고취
제 2절 불교사상과 윤리
1. 한국불교의 특징
화합과 관용의 정신, 현세구복적 성격, 호국불교적 성격, 대승적 성격
2. 원효
법성종을 창시하여 각 종파간의 대립 상쟁을 조화·통일시킴으로써
불교사상을 통합하여 원융회통사상의 초석을 마련, 정통사상으로 불교의 대중화
제 3절 유교사상과 윤리
1. 이황
주리론(정신적 ·도덕적 원리 중시), 이기호발설(둘 다 인정 )
2. 이이
주기론(물질적 · 경험적 세계 중시), 기발이승일도설(하나만 인정)
제 4절 한국근대사상과 윤리
1. 실학사상
1) 사상적 · 학문적 경향
실사구시, 경세치용, 이용후생
2) 실학과 이 이의 주기론
이이의 주기론→실학에 영향, 이이의 현실주의적 사상(양민→교화)은 정약용에 의해 집대성
3) 정약용의 윤리사상
근대적 의미에서의 자율적 인간관을 확립했다.
2. 동학사상
① 유·불·선 사상의 독창적 체계화, 인본주의·사해
평등주의·반봉건주의·반외세주의
② 오심즉여심 : 인간존중+만민평등
제 5절 전통사상의 재정립
1. 한국윤리사상의 특징
1) 인간존중사상
①건국이념 홍익인간, 재세이화, 이도여치, 광명이세
② 세속오계 : 살생유택 (인간존중 + 생명존중)
③ 토착불교 : 보우(천즉인 인즉천) → 인간존엄 + 자비정신
④ 토착유교 : 성리학→도심(道心)
⑤ 동학사상 : 사인여천(事人如天)
2) 민본주의의 구현
① 민본주의의 통치이념 : 위민주의, 인간존중사상→민본주의
② 민본주의의 굴림과 발전 : 홍익인간(인간존중), 왕도정치
3) 공동체 생활 윤리 의 구현
① 유교윤리 개인윤리(성, 경=신독, 극기 등) →공동체 윤리(경애, 예, 충, 효 등)
② 불교 및 도교윤리 : 자비심이나 보살행, 이상적 공동체의 건설
2. 전통윤리사상의 현대적 의의
1) 인간성 회복
인간관계를 존중하는 전통윤리(겸허, 성실, 효, 예의, 신의 등)
2) 핵가족의 문제점 해결
경장과 친애를 강조하는 전통윤리
3) 공동체 의식의 강화
사회구성원 간의 상호융화를 강조하는 전통윤리
4) 물질주의의 문제점 해결
검소한 생활을 강조하는 전통윤리
5) 환경문제 해결의 정신적 기반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강조하는 전통윤리
6) 민주정치 발전의 정신적 기반
민본주의를 강조하는 전통윤리